본문 바로가기

📖 책먹는 공룡📖

(5)
(5) <B F E> 영어영문학과를 전공으로 선택한 사람에게 최고의 순간은 생각지도 못하게 교수님의 강의 자료에서 내가 찾던 문학 작품을 만난다는 것이다. 그리고 Julia cho 작가의 BFE라는 작품이 나의 최고의 순간 중 하나였다. 개인적으로 영문 원작의 작품을 좋아하거나 영어권 배우를 좋아하는 사람들이라면 한 번쯤은 '유색인종 아시안'에 대해서 생각할 때가 있을 거라 생각한다. 일반적으로 한국에서 태어나고 자란 사람들은 '유색인종 아시안'이라는 개념을 크게 생각할 필요가 없다. 국민의 대다수가 동양인인 국가에서는 스스로를 유색인종이라고 체감할 경우가 적기 때문이다. 다만, 대중매체의 발달로 동양의 국가에서 거주하면서 종종 '유색인종 아시안'인 자신을 느끼게 되는데 그럴때마다 한편으로는 말하기 복잡하면서도 소수로 살아가..
(4) <광막한 사르가소 바다> https://www.goodreads.com/book/show/10210.Jane_Eyre Jane Eyre Orphaned as a child, Jane has felt an outcast her whole young life. Her courage is tested once again when she arrives at Thornfield Hall,... www.goodreads.com https://www.goodreads.com/book/show/25622780-wide-sargasso-sea Wide Sargasso Sea Wide Sargasso Sea, a masterpiece of modern fiction, was Jean Rhys’s return to the literary cente..
(3) <아이, 로봇>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243675 아이 로봇 | 아이작 아시모프 - 교보문고 아이 로봇 | SF의 전설 아이작 아시모프가 전하는 환상적인 로봇 세상!'SF의 3대 거장' 중 하나인 아이작 아시모프의 연작소설집『아이, 로봇』. 10여 년 동안 써온 로봇소설들을 모아 1950년에 펴낸 product.kyobobook.co.kr [아이, 로봇] 외전 리포트 나자렛_ 양치기 소년 로봇 인물 설명 디키 이반: 유명 백인 남자 래퍼, 크리스털 메스 반입 및 살인 용의자로 평소 SNS에 자신의 부를 과시하는 글을 올리는 것을 즐기는 듯했다. 어느 순간부터 자취를 감췄다가 GPS 신호만 남기고 사라지는 요주의 인물로 베일리 팀의 타깃이다. 베일리: 백인 60..
(2) < M.Butterfly > 왜 우리는 숨겨진 오리엔탈리즘을 알아보지 못하는가? 목차 0. 새로운 ‘David Henry Hwang’은 등장 할 수 있을 것인가? 1. 미디어를 통해 무뎌진 사고력 2. 고등교육의 변화로 보는 희망 그의 대표작이라 불리는 ‘M. Butterfly’의 등장은 단순히 연극이라는 분야뿐만 아니라 백인들이 가진 인종차별을 보여주며 사회적으로도 큰 파장을 불러일으켰다. 극 ‘M. Butterfly’는 백인들이 동양인을 바라보는 제국주의적 시선과 그들이 뼛속 깊이 가지고 있는 오리엔탈리즘을 사정없이 파괴하고 비웃는 작품으로 이 작품은 아시아계 미국인으로서 차별을 느끼고 자신의 정체성을 찾기 위해 수년 동안 사고해왔던 ‘David Henry Hwang’이기에 완성될 수 있었다. 그의 작품으로 인해 차별받던 아시아..
(1) < 마녀를 심판하는 망치 > 이제 슬슬 묵혀뒀던 흑역사들을 블로그에 천천히 기록해보려고 한다. 내가 썼던 글을 다시 읽고 그때 당시의 자신과 지금을 비교해볼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생각한다. (부족한 필력과 정돈된 상태가 아닌 에세이나 리포트를 공개된 곳에 올리는 것이 부끄럽기도 하지만 단순히 이동식 디스크에 보관해두기는 아쉬우니) 이 글을 독후감 카테고리에 포함시키는 것이 맞는지 모르겠지만(교양 과제였으니) 초등학교 때 분명히 담임 선생님이 자유로운 형식의 독후감을 쓰는 것도 중요하다고 말해주신 기억이 있어서 일단 올려두기로 결정했다. ‘마녀 사냥’은 영문학과를 전공으로 수업을 듣고 있는 나에게 흔히 들을 수 있는 단어였다. 특히 2학년 전공 수업에서 읽었던 ‘If she’d been born at the right time th..